문제

초기에 {0}, {1}, {2}, ... {n} 이 각각 n+1개의 집합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합집합 연산과,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산을 수행하려고 한다.

집합을 표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000),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m은 입력으로 주어지는 연산의 개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각각의 연산이 주어진다. 합집합은 0 a b의 형태로 입력이 주어진다. 이는 a가 포함되어 있는 집합과, b가 포함되어 있는 집합을 합친다는 의미이다.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산은 1 a b의 형태로 입력이 주어진다. 이는 a와 b가 같은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산이다. a와 b는 n 이하의 자연수 또는 0이며 같을 수도 있다.

 

 

출력

1로 시작하는 입력에 대해서 한 줄에 하나씩 YES/NO로 결과를 출력한다. (yes/no 를 출력해도 된다)

 

 

예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_BJ_1717_집합의표현 {
    static int N,M;
    static int [] ar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Tokenizer st;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int [N+1];
        
        for(int i=0;i<arr.length;i++) arr[i]=i;
        
        for(int i=0;i<M;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int o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o==0) {
                union(a,b);
            }else {
                if(find(a)==find(b)) sb.append("YES\n");
                else sb.append("NO\n");
            }
        }
        System.out.println(sb.toString());
        
    }
    
    public static int find(int x) {
        if(arr[x]==x) return x;
        return arr[x] = find(arr[x]);
    }
    
    public static void union(int a, int b) {
        int aRoot = find(a);
        int bRoot = find(b);
        
        if(aRoot != bRoot) arr[aRoot] = bRoot;
        
    }
 
}
cs

 

 

풀이방법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문제였습니다.

변수 o 가 0일 경우에는 두 집합을 합친다는 의미이므로 union()메소드를 통해 각 각의 루트를 찾아 두 원소가 다른 집합일 경우에는 집합의 루트를 같게 해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포함되어있다" 라고 표현해주었습니다.

변수 o가 1일 경우에는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find()메소드를 통해 루트가 같은지 확인하여 만약 같다면 yes를, 다르다면 no를 출력해주었습니다.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66번 프린터 큐 [JAVA]  (0) 2021.03.23
백준 7568번 덩치 [JAVA]  (0) 2021.03.23
백준 1976번 여행가자 [JAVA]  (0) 2021.03.22
백준 1991번 트리 순회 [JAVA]  (0) 2021.03.17
백준 12865번 평범한 배낭 [JAVA]  (1) 2021.03.17

문제

동혁이는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가려고 한다. 한국에는 도시가 N개 있고 임의의 두 도시 사이에 길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동혁이의 여행 일정이 주어졌을 때, 이 여행 경로가 가능한 것인지 알아보자. 물론 중간에 다른 도시를 경유해서 여행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가 5개 있고, A-B, B-C, A-D, B-D, E-A의 길이 있고, 동혁이의 여행 계획이 E C B C D 라면 E-A-B-C-B-C-B-D라는 여행경로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시들의 개수와 도시들 간의 연결 여부가 주어져 있고, 동혁이의 여행 계획에 속한 도시들이 순서대로 주어졌을 때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같은 도시를 여러 번 방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첫 줄에 도시의 수 N이 주어진다. N은 200 이하이다. 둘째 줄에 여행 계획에 속한 도시들의 수 M이 주어진다. M은 1000 이하이다. 다음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i번째 줄의 j번째 수는 i번 도시와 j번 도시의 연결 정보를 의미한다. 1이면 연결된 것이고 0이면 연결이 되지 않은 것이다. A와 B가 연결되었으면 B와 A도 연결되어 있다. 마지막 줄에는 여행 계획이 주어진다. 도시의 번호는 1부터 N까지 차례대로 매겨져 있다.

 

 

출력

첫 줄에 가능하면 YES 불가능하면 NO를 출력한다.

 

 

예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_BJ_1976_여행가자 {
    static int N,M;
    static int [] ar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 = new int[N+1];
        
        for(int i=1;i<arr.length;i++) arr[i]=i;
        
        for(int i=1;i<=N;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for(int j=1;j<=N;j++) {
                int o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o==1) {
                    union(i,j);
                }
            }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int start = find(Integer.parseInt(st.nextToken()));
        
        boolean flag=true;
        for(int i=0;i<M-1;i++) {
            int go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start!=find(go)) {
                flag=false
                break;
            }
        }
        
        if(!flag) System.out.println("NO");
        else System.out.println("YES");
            
    }
    public static int find(int x) {
        if(arr[x]==x) return x;
        else return arr[x] = find(arr[x]);
    }
    
    public static void union(int i, int j) {
        int aRoot = find(i);
        int bRoot = find(j);
        
        if(aRoot!=bRoot) arr[bRoot] = aRoot;
    }
}
cs

 

 

풀이방법

도시의 연결 정보를 통해 여행 계획을 바탕으로 첫 번째 여행 할 도시를 기준으로 다음 여행할 도시가 첫번 째 도시와 같은지 확인하여 만약 다를 경우 여행 계획에 속한 도시들을 순서대로 여행할 수 없으니 no를 출력하고 여행 계획에 속한 도시들을 순서대로 여행할 수 있으면 yes를 출력해주었습니다.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7568번 덩치 [JAVA]  (0) 2021.03.23
백준 1717번 집합의 표현 [JAVA]  (0) 2021.03.22
백준 1991번 트리 순회 [JAVA]  (0) 2021.03.17
백준 12865번 평범한 배낭 [JAVA]  (1) 2021.03.17
백준 10026번 적록색약 [JAVA]  (0) 2021.03.12

문제

이진 트리를 입력받아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이진 트리가 입력되면,

  • 전위 순회한 결과 : ABDCEFG // (루트)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 중위 순회한 결과 : DBAECFG // (왼쪽 자식) (루트) (오른쪽 자식)
  • 후위 순회한 결과 : DBEGFCA //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루트)가 된다.

 

입력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N≤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영문자 대문자로 매겨지며, 항상 A가 루트 노드가 된다. 자식 노드가 없는 경우에는 .으로 표현된다.

 

 

출력

첫째 줄에 전위 순회, 둘째 줄에 중위 순회, 셋째 줄에 후위 순회한 결과를 출력한다. 각 줄에 N개의 알파벳을 공백 없이 출력하면 된다.

 

 

예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_BJ_1991_트리순회 {
    
    public static class Node{
        String data;
        Node left;
        Node right;
        
        Node(String data){
            this.data=data;
        }
    }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public Node roo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int i=0;i<N;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String parent = st.nextToken();
            String leftChild = st.nextToken();
            String rightChild = st.nextToken();
            
            createNode(parent, leftChild, rightChild);
        }
        
        preOrder(root);
        
        inOrder(root);
        
        postOrder(root);
        
 
    }
    
    public static void createNode(String data, String leftData, String rightData) {
        if(root==null) { //루트 노트 없으면
            root = new Node(data);
            
            if(!leftData.equals(".")) {
                root.left= new Node(leftData);
            }
            if(!rightData.endsWith(".")) {
                root.right = new Node(rightData);
            }
            
        }else { //루트 노드 있으면
            searchNode(root, data, leftData, rightData);
        }
    }
    
    public static void searchNode(Node node ,String data, String leftData, String rightData) {
        if(node==nullreturn;
        else if(node.data.equals(data)) {
            if(!leftData.equals(".")) {
                node.left = new Node(leftData);
            }
            if(!rightData.equals(".")) {
                node.right = new Node(rightData);
            }
        }else {
            searchNode(node.left, data, leftData, rightData);
            searchNode(node.right, data, leftData, rightData);
        }
    }
    
    public static void preOrder(Node node) {
        if(node !=null) {
            System.out.println(node.data);
            if(node.left!=null) preOrder(node.left);
            if(node.right!=null) preOrder(node.right);
        }
    }
    
    public static void inOrder(Node node) {
        if(node!=null) {
            if(node.left!=null) inOrder(node.left);
            System.out.println(node.data);
            if(node.right!=null) inOrder(node.right);
        }
    }
    
    public static void postOrder(Node node) {
        if(node!=null) {
            if(node.left!=null) postOrder(node.left);
            if(node.right!=null) postOrder(node.right);
            System.out.println(node.data);
        }
    }
}
cs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17번 집합의 표현 [JAVA]  (0) 2021.03.22
백준 1976번 여행가자 [JAVA]  (0) 2021.03.22
백준 12865번 평범한 배낭 [JAVA]  (1) 2021.03.17
백준 10026번 적록색약 [JAVA]  (0) 2021.03.12
백준 4963번 섬의 개수 [JAVA]  (0) 2021.03.12

문제

이 문제는 아주 평범한 배낭에 관한 문제이다.

한 달 후면 국가의 부름을 받게 되는 준서는 여행을 가려고 한다. 세상과의 단절을 슬퍼하며 최대한 즐기기 위한 여행이기 때문에, 가지고 다닐 배낭 또한 최대한 가치 있게 싸려고 한다.

준서가 여행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N개의 물건이 있다. 각 물건은 무게 W와 가치 V를 가지는데, 해당 물건을 배낭에 넣어서 가면 준서가 V만큼 즐길 수 있다. 아직 행군을 해본 적이 없는 준서는 최대 K만큼의 무게만을 넣을 수 있는 배낭만 들고 다닐 수 있다. 준서가 최대한 즐거운 여행을 하기 위해 배낭에 넣을 수 있는 물건들의 가치의 최댓값을 알려주자.

 

 

입력

첫 줄에 물품의 수 N(1 ≤ N ≤ 100)과 준서가 버틸 수 있는 무게 K(1 ≤ K ≤ 100,000)가 주어진다. 두 번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거쳐 각 물건의 무게 W(1 ≤ W ≤ 100,000)와 해당 물건의 가치 V(0 ≤ V ≤ 1,000)가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모든 수는 정수이다.

 

 

출력

한 줄에 배낭에 넣을 수 있는 물건들의 가치합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_BJ_12865_평범한배낭2 {
    static int N,K,W,V, max=0;
    static int [][] bag;
    static int [] weight, val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K= Integer.parseInt(st.nextToken());
        
        bag = new int[N+1][K+1];
        weight = new int[N];
        value = new int[N];
        
        for(int i=0;i<N;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weight[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value[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dp();
        System.out.println(max);
 
    }
    
    public static void dp() {
        
        for(int i=1;i<=N;i++) {
            for(int j=1;j<=K;j++) {
                if(weight[i-1]>j) bag[i][j]=bag[i-1][j];
                else {
                    bag[i][j]=Math.max(value[i-1]+bag[i-1][j-weight[i-1]], bag[i-1][j]);
                }
                max = Math.max(bag[i][j],max);
            }
        }
    }
 
}
cs

 

구현 방법

부분집합으로 배낭에 넣을 물건을 선택해서 선택한 물건들의 무게의 합이 무게 K보다 작을 경우, 배낭에 물건들을 넣을 수 있으므로 물건들의 가치를 더해주었습니다. 이렇게 부분집합을 이용할 경우 나올 수 있는 방법이 2^n 이기 때문에 n이 커지면 그만큼 부분집합의 갯수도 많아져 시간초과가 발생했습니다.

 

두번째로 구현한 방법은 배낭에 넣을 수 있는 물건들의 가치의 최댓값을 구하기 위해 각 물건들의 물건과 가치를 이용해 dp를 통해 무게에 따른 가치를 누적해가며 배낭에 넣을 수 있는 무게에 따른 물건들의 최댓값을 구했습니다.

 

문제

- 100*100 행렬의 형태로 만들어진 미로에서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지점까지 갈 수 있는 길이 있는지 판단하는 문제

- 1은 벽, 0은 길 2는 출발점, 3은 도착점

 

풀이방법

- DFS알고리즘을 이용

- 상, 하, 좌, 우로 이동하여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 갈 수 있는지 판단

- 만약 도착지점에 도달했을 경우 리턴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Solution_D4_1227_미로2 {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startX, startY,find;
    static int [] dx = {-1,0,1,0};
    static int [] dy = {0,1,0,-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for(int tc=1;tc<=10;tc++) {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100][100];
            visited = new boolean[100][100];
            
            for(int i=0;i<100;i++) {
                String str = br.readLine();
                for(int j=0;j<100;j++) {
                    map[i][j]=str.charAt(j)-48;
                    if(map[i][j]==2) {
                        startX = i; startY = j;
                    }
                }
            }
            find=0;
            sb.append("#"+N+" ");
            dfs(startX, startY);
            sb.append(find+"\n");
            
        }
        System.out.println(sb.toString());
 
    }
    
    public static void dfs(int x, int y) {
        if(find==1return;
        visited[x][y] = true;
        
        for(int i=0;i<4;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map[nx][ny]==3) {
                find=1;
                return;
            }
            
            if(check(nx,ny) && !visited[nx][ny] && (map[nx][ny]==0)) {
                dfs(nx,ny);
            }
        }    
    }
    
    public static boolean check(int x, int y) {
        return x>=0 && y>=0 && x<100 && y<100;
    }
 
}
cs

 

'문제 > SW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 1210] Ladder1 (JAVA)  (0) 2021.09.16
[SWEA 5658] 보물상자 비밀번호 (JAVA)  (0) 2021.09.10
[SWEA 4012] 요리사 (JAVA)  (1) 2021.03.16

문제

- 식재료 N/2개씩 나누어 두 개의 요리를 만들어 두 음식 맛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재료를 배분해야하는 문제

 

 

풀이방법

- 조합을 이용해 N/2 식재료를 선택후, 선택한 식재료를 이용해 A음식을, 비선택한 식재료를 이용해 B음식을 통해 맛 차이 비교를 해주었습니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Solution_4012_요리사 {
    static int [][]food;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N, m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int tc=1;tc<=T;tc++) {
            min=Integer.MAX_VALUE;
            
            N= Integer.parseInt(br.readLine());
            
            food = new int[N][N];
            visited = new boolean[N];
            
            for(int i=0;i<N;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for(int j=0;j<N;j++) {
                    food[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sb.append("#"+tc+" ");
            comb(0,0);
            sb.append(min+"\n");
        }
        System.out.println(sb.toString());
    }
    
    public static void comb(int cnt, int start) {
        if(cnt==N/2) {
            check();
            return;
        }
        
        for(int i=start; i<N;i++) {
            visited[i] = true;
            comb(cnt+1,i+1);
            visited[i] = false;
        }
    }
    
    public static void check() {
        int A=0, B=0, result=0;
        
        for(int i=0;i<N-1;i++) {
            for(int j=i+1;j<N;j++) {
                if(visited[i] && visited[j]) {
                    A+=food[i][j]+food[j][i];
                }
                else if(!visited[i] && !visited[j]) {
                    B+=food[i][j]+food[j][i];
                }
            }
        }
        result = Math.abs(A-B);
        min = Math.min(result, min);
    }
}
cs

 

 

 

'문제 > SW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 1210] Ladder1 (JAVA)  (0) 2021.09.16
[SWEA 5658] 보물상자 비밀번호 (JAVA)  (0) 2021.09.10
[SWEA 1227] 미로2 (JAVA)  (0) 2021.03.16

+ Recent posts